자동차
차값 오르면 국산차 수요↓, 수입차 수요↑
기사입력| 2017-12-03 15:07:37
정부 규제에 따라 국산차와 수입차의 판매가격이 동일한 금액만큼 인상되면 국산차 수요는 줄어드는 반면 수입차 수요는 오히려 늘어나는 것으로 분석됐다.
한국자동차산업협회는 컨슈머인사이트에 의뢰해 시행한 '정부 정책에 의한 차량 가격 변동에 따른 소비자 수요변화 연구 용역' 결과가 이같이 나타났다고 3일 밝혔다. 이번 연구는 국산차와 수입차의 판매가격이 4단계(100만원·200만원·300만원·500만원)로 인상될 경우와 2단계(100만원·200만원)로 인하될 경우를 가정해 소비자의 수요변화를 분석했다.
연구 보고서에 따르면 국산차 수요는 차량 가격 100만원 인상 시 3.4%, 200만원 인상 시 10.4%, 300만원 인상 시 22.4%, 500만원 인상 시 37.6% 각각 감소했다. 반면 수입차 수요는 차량 가격이 100만원 오를 때 1.3%, 200만원 오를 때 4.8%, 300만원 오를 때 1.6% 각각 증가했다. 500만원 오를 때만 수요가 11.7% 줄었으나 감소폭은 국산차보다 훨씬 작았다.
이처럼 국산차에서 가격 인상에 따른 수요 감소가 두드러진 것은 애초 가격이 상대적으로 낮아 소비자의 구매 포기 사례가 더 많이 발생하기 때문으로 분석됐다. 또 가격저항선이 생기면서 수입차 동일 가격대 수준의 모델로 수요가 옮겨가는 현상이 나타났다고 보고서는 설명했다.
반대로 수입차는 구매 포기 정도가 국산차보다 낮은 데다 국산차에서 넘어온 수요 증가분이 더욱 커서 전체적인 수요가 늘어나는 현상을 보였다. 차량 가격이 100만원 또는 200만원 인하될 경우 국산차 수요는 각각 3.3%, 6.7% 늘었다. 동일하게 가격이 인하된 수입차로 일부 수요가 이동했음에도 낮은 가격 덕분에 신규 수요 창출 효과가 커서 이를 상쇄했다. 수입차 수요는 차량 가격이 100만원 내릴 때 0.3%, 200만원 내릴 때 3.5% 증가하는 데 그쳤다. 이는 신규 수요 창출이 미미하고 국산차로부터의 수요 이전 효과가 크지 않기 때문이라고 보고서는 분석했다. 이정혁 기자 jjangga@sportschosu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