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동차
한국 소비자, 10개 평가항목 중 무려 9개에서 국산차보다 수입차에 만족
기사입력| 2017-11-07 15:07:16
한국 소비자들은 국내 완성차 브랜드 차량보다 수입차에 더 만족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자동차 조사·평가 전문업체 컨슈머인사이트는 지난 7월 9만6123명의 자동차 보유자 또는 2년 내 신차 구매 의향자를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10개 평가 항목 가운데 9개에서 국산 차의 만족도가 수입차에 열세를 보였다고 7일 밝혔다.
평가 항목별 결과를 보면, 우선 새 차 구매 전후 고객 관리 우수성을 평가하는 '판매서비스'에서 국산 차의 만족률은 53%로 수입차(59%)보다 6%포인트(p) 낮았다.
차를 산 소비자가 1년 내 해당 차의 성능·기능·디자인에 얼마나 만족하는지를 나타내는 '제품' 부문 만족률에서 역시 수입차(64%)가 국산(54%)을 14%p나 웃돌며 월등한 우세를 보였다.
'초기품질' 만족률에서도 수입차(71%)가 국산 차(62%)를 9%p 앞섰다. 특히 이 부문에서 수입-국산 차 격차는 지난해 4%p에서 올해 9%p로 오히려 벌어졌다. 이는 최근 출시된 여러 국산 신차들의 초기품질이 그만큼 안정적이지 않다는 의미다.
'품질 스트레스'에서는 국산차, 수입차 소유자의 각각 52%, 59%가 별로 스트레스를 받지 않았다고 답했다.
자동차 구매·유지비용(가격·연비·유지비·AS비용·중고차가격)과 관련한 '비용 대비 가치' 만족률에서도 수입차(37%)는 국산차(26%)보다 11%p나 높았다.
차량 구매 후 3년 내 소비자 대상의 '내구품질' 평가에서 수입차 소유자의 67%가 만족한 데 비해 국산 차 소유자 가운데 절반 이하인 48%만 만족한다고 답했다. 특히 여러 평가 항목 가운데 내구성 관련 수입-국산 차 만족률 격차(19%p)가 가장 컸다. 이는 국산 차의 가장 큰 약점 중 하나가 내구성이라는 소비자 인식이 고스란히 반영된 결과라 할 수 있다.
차량의 '신뢰성' 평가에서도 국산 차는 수입차(평균 0.89건)의 약 두 배인 평균 1.74건의 문제를 지적받았다.
차량 구매 후 4~6년 사용자 대상의 '부식 발생 부위 수' 조사에서도 국산 차(평균 3.94건)는 수입차(평균 1.17건)의 3.4배에 이르렀고, 새 차 구매자들에게 '해당 제조사에 얼마나 만족하는지' 조사한 '제작사 만족률' 역시 국산 브랜드(37%)가 수입차 브랜드(56%)에 19%p나 뒤졌다.
10개 항목 가운데 유일하게 '정비서비스' 분야에서는 국산 차가 수입차와 같은 만족률(67%)을 기록했다.
컨슈머인사이트 관계자는 "조사 결과 국산 차가 비교 우위인 영역은 거의 없었다"며 "수입차가 국내 시장의 15% 이상을 차지했다지만 아직 한국은 세계에서 수입차 점유율이 낮은 나라 가운데 하나인데, 이런 열세 상황이 이어지면 '수입차 쏠림' 현상을 피하기 어려울 것"이라고 전망했다.
한편 컨슈머인사이트의 '연례 자동차 기획조사'는 해마다 약 10만 명 안팎의 소비자에게 직접 경험과 평가를 묻는 방식으로, 국내 자동차 소비자 평가조사 가운데 가장 규모가 큰 것이다.이정혁 기자 jjangga@sportschosun.com